임신성 당뇨 검사는 임신 중 발생할 수 있는 당뇨병(임신성 당뇨, Gestational Diabetes)을 조기에 발견하기 위한 검사입니다.
임신 중 호르몬 변화로 인해 인슐린 기능이 떨어지면서 혈당이 높아지는 경우가 있어, 산모와 태아 모두에게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꼭 검사가 필요합니다.

임당검사(임신성 당뇨 검사)의 절차는 1차 검사와 2차 검사로 나뉘며, 단계별로 혈당 수치를 확인해 임신성 당뇨 여부를 판단합니다.

 


📌 검사 종류 및 절차

✅ 1차 검사: 50g 경구 포도당 부하 검사 (OGTT)

  • 시기: 보통 임신 24~28주 사이
  • 방법: 공복 여부 관계없이 포도당 50g을 마신 후 1시간 후 혈당 측정
  • 결과 해석:
    • 혈당이 140mg/dL 이상이면 2차 정밀검사(100g OGTT) 필요

✅ 2차 검사: 100g 경구 포도당 부하 검사

  • 방법:
    1. 전날 밤부터 금식
    2. 공복 혈당 측정 후 포도당 100g 섭취
    3. 1시간, 2시간, 3시간 후 혈당 측정
  • 진단 기준 (4번 중 2개 이상 초과 시 임신성 당뇨 진단):
    • 공복: ≥ 95 mg/dL
    • 1시간: ≥ 180 mg/dL
    • 2시간: ≥ 155 mg/dL
    • 3시간: ≥ 140 mg/dL

 

💡 검사 전 유의사항

  • 2차 검사는 반드시 금식 필요
  • 당 음료가 매우 달기 때문에 속이 메스꺼울 수 있음
  • 검사 전날은 과도한 운동, 과식, 저탄수화물 식사 피하기

 

⚠️ 임신성 당뇨 왜 중요한가요?

1. 태아 건강 보호

  • 거대아 출산 위험 증가 → 난산, 제왕절개 가능성 ↑
  • 저혈당, 황달, 호흡곤란 등 신생아의 출생 직후 문제 가능성
  • 출산 후 소아 비만이나 제2형 당뇨 위험 증가

2. 산모 건강 보호

  • 임신중독증(자간전증) 위험 증가
  • 조산 가능성 증가
  • 출산 후 제2형 당뇨로 발전할 가능성 높음
  • 양수 과다증이나 반복적인 요로감염 위험도 높아짐

3. 조기 발견으로 관리 가능

  • 조기 진단되면 식이요법, 운동, 혈당 조절만으로도 대부분 잘 관리 가능
  • 필요시 인슐린 치료로 안전한 임신 유지 가능

임신성 당뇨 검사가 중요한 이유는, 산모와 태아 모두에게 큰 영향을 줄 수 있는 질환을 조기에 발견하고 예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. 임신 중에는 호르몬 변화로 인해 혈당 조절이 어려워질 수 있고, 이로 인해 생기는 고혈당 상태는 여러 가지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.


 


 

임당검사(임신성 당뇨 검사)에 걸리면, 즉 임신성 당뇨로 진단되면, 당장 너무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.
많은 산모들이 임신성 당뇨를 겪지만, 잘 관리만 하면 건강한 출산이 가능합니다.


✅ 진단 후 해야 할 일

1. 혈당 자가 측정

  • 하루에 4~6회 정도 혈당 체크 (식전/식후)
  • 병원에서 혈당기 지급하거나, 앱과 연동되는 기기 추천받을 수 있습니다.

2. 식이요법

  • 탄수화물 섭취 조절 (밥, 빵, 면 등)
  • 당분 적은 간식, 과일 제한
  • 정해진 시간에 소량씩 자주 먹기 (3끼 + 2~3번 간식)

3. 가벼운 운동

  • 식후 15~30분 산책만 해도 혈당 관리에 큰 도움
  • 무리하지 않되, 꾸준한 움직임 중요

4. 병원 정기 관리

  • 혈당 기록지를 기반으로 의사와 상담
  • 필요하면 인슐린 주사 치료 (약 10~20% 정도의 산모에게 필요)

⚠️ 관리하지 않으면 생길 수 있는 문제

  • 태아 거대아 → 난산/제왕절개 위험 증가
  • 조산, 양수 과다증
  • 신생아 저혈당, 호흡곤란
  • 산모의 고혈압, 자간전증 등

하지만 철저한 관리로 대부분의 산모가 정상 분만하고
출산 후엔 혈당도 자연스럽게 정상으로 돌아오는 경우가 많습니다.


# 출산 후에는?

  • 출산 후 6~12주 사이에 당뇨 재검사 필요
  • 일부는 제2형 당뇨로 이어질 수 있어 정기적인 관리가 필요합니다.

 

📌 검사 꼭 받아야 하나요?

대부분의 산모는 24~28주에 필수로 검사를 받도록 권유됩니다.
과거에 임신성 당뇨가 있었거나, 비만, 고령임신, 가족력 등이 있으면 더 이른 시기(16~18주)에 검사할 수도 있습니다.

+ Recent posts